창업을 통해 운명을 바꿀 수 있다
상태바
창업을 통해 운명을 바꿀 수 있다
  • 박홍인 사무국장
  • 승인 2022.05.20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성창업

인생에는 개인의 천박한 사상이나 재능이 미치지 못하는 크나큰 생명의 흐름, 위대한 힘의 움직임이 있다. 그 흐름에 우리가 어떻게 노를 젓는가, 어떻게 그 흐름에 참여하는가에 따라서 인간의 실질적 가치나 성패가 결정된다. 그러한 점에서 우리에게는 끝없는 반성과 사색과 수양이 필요하다.

이미지 ⓒ www.iclickart.co.kr
이미지 ⓒ www.iclickart.co.kr

 

 
운명(運命)은 쉼 없이 움직이는 것
젊을수록 결코 시간을 낭비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또 아무리 쓰라린 경험이라도 이를 회피해 가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몸으로 부딪쳐 모든 경험을 귀하게 받아들여서 익히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 뜻에서 우리는 엄숙한 운명의 존재다. 다만 운명이라면 대단히 오해하고 착각하는 면이 있다.

동양민족의 모든 교학에 가장 보편적이고도 기본적인 사상학문의 하나가 역(易)이다. 그 역(易)이라는 하나의 문자는 ‘바뀐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만물은 끝없이 창조되며 변화한다. 창조 그 자체가 이미 하나의 변화다. 더 깊게 말하자면 하나의 화(和)이다. 화(和)는 바꾸어 말하면 역(易)이다.

그래서 이 화(和)와 역(易)이 동양철학의 가장 깊은 근본개념의 하나다. 역(易)은 만물의 창조와 변화에 즈음해서 불변의 법칙을 발견하고, 그것에 의해 조화의 일부분인 인간이 그 조화에 참여해서 그것을 어디까지 창조·변화시킬 수 있는가라는 실천의 학문이며 변혁의 학문이다.

이 역(易)은 이미 말한 바대로 끝없이 창조·변화하는 우주와 인생에서 조화의 법칙을 탐구해서 자기 인생과 사회를 끝없이 창조·변화해 가려는 것이다. 이른바 ‘절대의 움직임’이다. 이러한 절대적인 움직임을 동양철학에서는 명(命)이라고 한다. 생명은 명(命)의 하나이다. 크나큰 ‘우주의 작용’은 천명(天命)이다. 사람의 육체는 그 일부인 생명이다.

명(命)이란 ‘절대적 작용’이란 뜻을 갖고 있다. 이를테면 내키는 대로 본능적이고 충동적으로 생활하지 않고 엄한 도덕법칙을 자각하고 체득해서 생활하는 사람을 명(命)의 사람이라고 한다.

우리의 존재, 우리의 인생이란 하나의 명(命)이다. 그 명(命)은 우주의 본질인 끝없는 창조변화, 즉 쉼 없이 움직이므로 운명(運命)이라고 한다. 운(運)이란 움직임이라는 글자이며 다이내믹을 뜻한다.

우리가 어떤 소질과 재능을 갖고 있으며, 그것이 어떤 관계로 어떻게 되어가는가를 법칙으로 알아내고 그것을 조종함으로써 우리의 인격, 우리의 생활, 우리의 사회를 창조해 가는 것을 철학(哲學)이라 해도 좋다. 동양에서는 도학(道學)이라 한다. 그러므로 역학(易學)으로 말한다면 과학은 물질에 관한 역학이다.

철학이나 도학이란 인간에 관한 역학(易學)이다. 그러나 물질에 관학 과학조차 쉽지 않다.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야 두말할 나위조차 없다. 인간에 관한 명(命)수의 학문, 즉 ‘인간학’이란 더더욱 어렵다. 그러면서 또 대단히 흥미로운 것이다.

따라서 우리에게 아무리 무력하게 보일지라도, 자연의 하찮은 물질조차도 신비한 소질과 능력을 갖추고 있거늘 하물며 인간의 소질과 능력은 어떻겠는가. 인간은 학문과 수양에 따라서는 소질과 재능을 계발해서 스스로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세계조차 바꿀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해서 결코 자기 생활을 가볍게 하지 말아야 한다.

 

창업을 통해 야망을 품어라
태양 빛을 쬐지 않으면 만물이 성장하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이상은 마음의 태양이다. 이상을 향해 정열이 솟구친다는 것은 해를 향해 태양을 우러른다는 것이다. 이것이 없으면 인간의 모든 덕이, 따라서 재주와 예능도 발달하지 못한다.

그 중요한 조건은 우리 마음속과 일상생활에서 진지한 이상상(理想像)을 갖는 것이다. 우리가 자기 마음속에 이상의 정열을 불러일으킬 만한 인물을 갖지 않고 상상도 없고 사숙할 인물을 갖지 않는 것과 그와 반대로 그런 대상을 갖는 것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되도록 젊은 시절에 이상 정신의 세계를 받아 마음의 정열을 불태운다면 설사 도중에 어떤 비운에 처하고 어떤 고민과 마주쳐도 반드시 위대한 구원의 힘이 된다.

사숙하는 인물과 함께 가져야 할 것은 애독서와 좌우명(座右銘)이다. 울적할 때, 슬플 때, 고달플 때, 적적할 때 펼쳐볼 마음의 책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런 뜻을 가지고 있더라도 만일 우리가 병약하든가 머리가 나쁘다면, 가난하게 자랐다면, 바빠서 틈이 없는 사람이라면? ‘워낙 몸이 약해서, 머리가 나빠 안 되겠어, 원래 가난하니까, 혹은 노상 바쁘다 보니 도무지’라고 하는 게 보통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이다. 과연 그럴까? 그렇지 않다.

만일 그렇다면 그것은 게으름뱅이의 핑계이며 의지가 약한 증거이다. 예를 들어가면서 확인해 보자. 이것을 확인해 보고도 노력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분명 어지간한 게으름뱅이가 아닐 수 없다.

병약해서 공부를 못 하는 일은 절대로 없다. 워낙 병이 무겁다면 별문제지만, 아니 중병(重病)이라도 중병 나름대로 학문과 깨달음이 있다. 병약해서 못한다는 인간은 살 의미도 가치도 없어 죽는 편이 낫다고 생각해 보라. 오히려 거기서 용기가 우러나와 튼튼해질지도 모른다. 인간의 묘미라는 것은 그런 데에 있다. 따라서 운명은 스스로 개척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박홍인 (사)한국여성창업교육협회 사무국장  현재 과천시 창업상권활성화센터 센터장, (사)뷰티산업능력개발협회 이사, (사)한국강사협회 명강사회원, (사)한국여성창업교육협회 사무국장, 창업진흥원 예비창업패키지사업 멘토, (재)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인천ITP 멘토 및 운영위원,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청년창업 상생서포터즈 시장전문가로 있으면서 여성창업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예비창업자 및 창업인들을 위한 활동을 해오고 있다.  e-mail phi3d@naver.com

 

*CEO스터디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